사회

아스파탐? 알룰로스? 사카린? 설탕 대신 사용하는 감미료 종류와 특징 총정리

경제와 세상 공부하는 아빠 2025. 4. 10. 19:00
728x90
반응형

 

건강을 중시하는 트렌드와 함께 ‘무설탕’, ‘제로칼로리’, ‘다이어트 식품’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 이와 더불어 식품 포장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바로 ‘아스파탐(aspartame)’을 비롯한 다양한 설탕 대체 감미료입니다.

그렇다면 아스파탐은 정확히 무엇이고, 설탕 대신 어떤 감미료들이 사용될까요?
이 글에서는 아스파탐의 특징과 안전성, 그리고 설탕 대신 쓰이는 감미료 종류 및 장단점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립니다.


아스파탐이란?

아스파탐(aspartame)은 1965년에 처음 발견된 인공감미료로, 설탕보다 약 200배의 단맛을 가지고 있습니다. 주로 탄산음료, 껌, 저칼로리 디저트, 다이어트 제품 등에 사용되며, ‘제로콜라’나 ‘무설탕 껌’ 성분표에 자주 등장합니다.

728x90

아스파탐의 특징

  • 단맛은 강하지만 칼로리는 매우 낮음 (거의 제로)
  • 설탕과 유사한 맛을 내며, 음식의 풍미를 해치지 않음
  • 고온에서는 분해되기 때문에 베이킹에는 부적합

아스파탐의 안전성

  • 국내외 다양한 기관(WHO, 미국 FDA, 유럽 EFSA 등)에서 인체에 안전하다고 인정
  • 그러나 페닐케톤뇨증(PKU) 환자는 체내에서 아스파탐 대사물질인 페닐알라닌을 분해하지 못하므로 섭취 금지
  • 일부에서는 두통, 현기증 등 부작용 주장도 있으나, 과학적으로 명확한 인과관계는 확인되지 않음
  • 하루 섭취 허용량(ADI): 체중 1kg당 40mg (예: 체중 60kg 성인은 약 2400mg까지 안전)

설탕 대신 쓰는 감미료 종류와 특징

설탕을 줄이거나 없애고 싶다면, 아래와 같은 자연 및 인공 감미료를 대체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 각각의 특징과 용도, 장단점을 비교해보세요.


1. 스테비아 (Stevia)

자연 유래 감미료

  • 설탕보다 200~300배 더 단맛
  • 스테비아 식물에서 추출된 천연 성분
  • 혈당을 높이지 않아 당뇨환자에게 적합
  • 약간의 쓴맛 또는 감초 같은 뒷맛이 남을 수 있음

장점: 천연 유래, 제로칼로리, 안정성 높음
단점: 뒷맛에 거부감이 생길 수 있음


2. 에리스리톨 (Erythritol)

당알코올 계열 감미료

  • 설탕 단맛의 약 60~70%
  • 열량은 거의 0kcal
  • 위장에서 대부분 흡수되고 배출돼 혈당 영향 없음
  • 과다 섭취 시 가스, 복부팽만감 유발 가능

장점: 천연 과일에서도 발견되며 비교적 안전
단점: 대량 섭취 시 설사 유발 가능


3. 수크랄로스 (Sucralose)

인공 감미료

  • 설탕보다 600배 이상 단맛
  • 열에 강해 베이킹이나 요리에도 사용 가능
  • 체내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배출됨

장점: 단맛이 매우 강하고 안정성 높음
단점: 일부에서 장내 미생물 영향 우려 제기


4. 사카린 (Saccharin)

가장 오래된 인공 감미료 중 하나

  • 설탕의 300~500배 단맛
  • 열과 산에 강하고, 안정성이 높음
  • 1970년대 한때 발암성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안전성 인정

장점: 오랜 사용 이력, 저가
단점: 금속성 뒷맛이 느껴질 수 있음


5. 알룰로스 (Allulose)

최근 주목받는 저칼로리 당

  • 설탕 단맛의 70% 정도, 칼로리는 10분의 1
  • 혈당 상승 거의 없음, 항산화 및 지방 감소 효과까지 보고됨
  • 천연 감미료와 유사한 맛

장점: 혈당 부담 적고 설탕 맛 유사
단점: 아직 가격이 높고 대중화 초기 단계


반응형

설탕 대신 감미료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

  • 모든 감미료가 무조건 건강한 것은 아닙니다. 단맛에 대한 욕구를 자극할 수 있어 오히려 식습관을 망칠 수 있습니다.
  • 장내 미생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감미료도 있으므로 장기 복용은 전문가와 상담이 필요합니다.
  • 특히 어린이, 임산부,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감미료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.

 

결론: 아스파탐부터 스테비아까지, 현명한 감미료 선택이 건강을 좌우합니다

설탕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비만, 당뇨, 심혈관 질환 등의 위험이 높아집니다. 따라서 설탕을 대신할 수 있는 감미료를 이해하고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큰 도움이 됩니다.

다만 모든 감미료가 우리 몸에 ‘완벽하게 안전’한 것은 아니므로, 다양한 감미료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.
“무설탕”이나 “제로칼로리”라고 해서 무조건 건강한 것은 아니므로, 성분표를 꼼꼼히 읽는 습관도 함께 들이세요.

728x90
반응형